2016 실재와 가상의 틈에서 : 정소연의 ‘어떤 풍경(some Landscape)’

실재와 가상의 틈에서 : 정소연의 ‘어떤 풍경(some Landscape)’ 김영호 (중앙대교수, 미술평론가) 2010년 뉴욕의 텐리(Tenri) 갤러리에서 <홀마크 프로젝트(Hallmark Project)> 시리즈를 선보인 이래 정소연이 천착하고 있는 매체는 캔버스 회화이다. 데뷔작으로 알려진 1997년의 ‘인형의 집’ 이후 오랫동안 오브제와 영상설치 작업에 몰입했던 그녀가 홀연히 캔버스 회화로 귀환 한데는 나름의 이유가 있을 것이다. 정소연은 국내 대학에서 회화를 전공한 이후 뉴욕으로 […]

2016 Between Reality and Virtuality : Jeong Soyoun’s ‘Some Landscape’

Between Reality and Virtuality : Jeong Soyoun’s ‘Some Landscape’ Kim Young-ho Art Critic & Prof. of Chung-ang University Since she presented <Hallmark Project> at Tenri Gallery, New York in 2010, Jeong Soyoun has sticked to the medium, canvas painting. Since 1997 when she made a debut with ‘A House of a Doll,’ she had long […]

2014 정소연의 네버랜드(Neverland) _ 미술평론가 류병학

정소연의 네버랜드(Neverland) 미술평론가 류병학 네버랜드(Neverland)? 스코틀랜드 출생의 영국 소설가이면서 극작가인 제임스 메튜 배리(James Matthew Barrie)의 [피터 팬(Peter Pan)]이 떠오른다. 우리에게 잘 알려진 어린이를 위한 동화 [피터 팬]은 원래 성인소설 [작은 하얀 새(The Little White Bird)](1902)에서 파생된 것이다. [작은 하얀 새]에 담긴 피터 팬의 이야기를 제임스 메튜 배리는 크리스마스 아동극(1904년)으로 각색하고, 동화 [피터와 웬디(Peter and Wendy)](1911)를 […]

2011 정소연전 : 21세기 장르화와 베니티(vanity)의 다른 이름 _ 진휘연(미술사)

정소연전 : 21세기 장르화와 베니티(vanity)의 다른 이름 진휘연(성신여자대학교, 미술사) 새로움을 향한 도전은 이제 21세기의 숙명과도 같다. 새로움에 대한 갈망의 속도는 현기증이 난다. 어제의 것에 더 이상 관심을 가질 수 없는 사회와 인간 군상들은 스스로가 경쟁이라는 울타리를 쓰고 무언가 다른, 새롭다고 느껴지는 환상을 쫓아 매일 달려가고 있다. 이런 면에서 이미지는 더 이상 철학적 심미적 단계에 머물 […]

2011 꿈세계와 이미지의 실현 – 정소연의 <홀마크 프로젝트> _ 강수미(미학)

꿈세계와 이미지의 실현 – 정소연의 강수미 (미학) 1. 도입 왜 아무 것도 없지 않고 이미지가 있었을까? 매체이론가 빌렘 플루서(Vilém Flusser)는 인류의 문화사를 다음과 같이 간략하게 정리한다. “우선 시공간으로부터 조각품의 세계가, 예컨대 ‘비너스’의 세계가 추상되고, 이로부터 그림의 세계가, 예컨대 동굴 그림의 세계가 추상되며, 이로부터 다시 텍스트의 세계가, 예컨대 메소포타미아 서사시의 세계가 추상되고, 마지막에는 이로부터 컴퓨터화된 세계가, […]

2007 SoYoun Jeong : Between Fact and Fiction _ Jonathan Goodman

SoYoun Jeong : Between Fact and Fiction Jonathan Goodman SoYoun Jeong is a contemporary artist educated both in Korea and New York. She is currently a doctoral candidate in image engineering at Chungang University in Seoul; her art often concerns images realized with a digital video camera and edited on the computer. Yet, at the […]

2007 Review : CTRL TIME : SoYoun Jeong _ Daniel R. Quiles

Review : CTRL TIME : SoYoun Jeong Daniel R. Quiles Curated by Hyewon Yi, CTRL TIME, a ten-year retrospective of Korean artist SoYoun Jeong, was held at the Amelie A. Wallace Gallery at SUNY College at Old Westbury from February 20 to March 29, 2007?the artist’s first exhibition in the United States. Highlighting the theme […]

2007 CNTL TIME : SoYoun Jeong _ Hyewon Yi

CNTL TIME : SoYoun Jeong Hyewon Yi SoYoun Jeong (born in Seoul, 1967) studied painting at Ewha Womans University. Gradually Jeong’s interest shifted to new media such as video, where she found possibilities for playfully manipulating time and virtual space. Often described as an “off-genre artist,” Jeong uses diverse media ranging from video to sculpture […]

2006 Art Spectrum 2006 작가와의 인터뷰 2006 _ 정리 : 오승희 (LeeUMn 삼성 미술관)

Art Spectrum 2006 작가와의 인터뷰 오승희 : <Welcome to My House>에서 당신은 작가의 스튜디오이자 일상 생활이 벌어지는 뉴욕의 한 아파트 안을 보여준다. 가장 사적인 공간이면서 동시에 작업에 이루어지는 이 공간을 작품의 소재로 삼은 이유는 무엇인가? 정소연 : <Welcome to My House>는 내(작가)가 살고 있는 뉴욕 아파트의 ‘실제 방 안의 모습’과 ‘창에 비친 방’, ‘방 안에서 […]

2006 Interview with Oh Sunghee (Samsung LeeUm Museum, Seoul) _ Text by Oh Sunghee (Samsung LeeUm Museum, Seoul)

Interview with Oh Sunghee (Samsung LeeUm Museum, Seoul) Text by Oh Sunghee (Samsung LeeUm Museum, Seoul) Oh Sunghee : ‘Welcome to My House’ shows the inside of your New York apartment, which is also your studio and place of everyday living. This is your most private place and your place of work. Why did you […]

2005 정소연의 “진짜 더 잼있는 전시”에 부쳐 _ 김홍희 (쌈지스페이스 관장)

정소연의 “진짜 더 잼있는 전시”에 부쳐 쌈지스페이스 관장 김홍희 쌈지스페이스에서는 2005년 개인전 기획으로 미디어 작가 정소연을 초대합니다. 작가는 이번에 “진짜 더 잼있는 전시”라는 제하에 미술의 창작에서 소비에 이르는 경로를 작업화한 정말 재미있는 전시회를 선사합니다. 자신의 일상, 삶에 기반한 작업환경과 제작과정, 관객과의 소통과 작품유통의 문제를 경쾌하게 그러나 심도 있게 다루고 있는 이번 전시회를 통해 미술, 특히 […]

2005 SoYoun Jeong Solo Show _ Kim, Hong-hee (Director, SSamzie Space)

SoYoun Jeong Solo Show [Funnier Exhibition, Really Really!] Kim, Hong-hee (Director, SSamzie Space) SSamzie Space invited media artist SoYoun Jeong for its Solo Show program in the year 2005 season. Under the title of , Jeong presents a sensibly funnny show regarding the course of artmaking, from production to consumption. In this solo exhibition, Jeong […]

2005 유희 뒤에 숨은 현대 미술의 정체성 : 뉴미디어로 풀어낸 이미지의 힘 _ 진휘연 (미술사)

유희 뒤에 숨은 현대 미술의 정체성 : 뉴미디어로 풀어낸 이미지의 힘 진휘연 (sadi 교수, 미술사) “이미지는 프레임(틀)에서 튀어나와야 한다.”라는 17세기 화가 파체코의 충고는 21세기에도 여러 가지 의미를 갖는다. 이미지는 분명 틀보다 크다. 이미지가 틀에 갇혀있든, 아니면 그로부터 자유로운 상태이든, 오늘도 이미지는 그것을 싸고 있는 틀과 다양한 관계를 맺고 있다. 프레임은 이미지를 받아들이는 수용의 관습이나 인식의 […]

2005 The Authentic Identity of Contemporary Art Veiled in Entertainment : The Power of Image Comprehended by New Media _ Whui-yeon Jin (Art History)

The Authentic Identity of Contemporary Art Veiled in Entertainment : The Power of Image Comprehended by New Media Whui-yeon Jin (Art History) Artist Pacchetto of 17th century once stated that the image has to be freed from the frame, which is still valid in 21st century. Certainly, images are much greater than frames. Whether physically […]

2002 정소연 전 – 미술과 담론 (Art & Discourse) 리뷰 _ 이선영

정소연 전 (4/3–4/23 , 이화익 갤러리) 이선영 ‘달콤한 약’이라는 전시부제가 붙은 이 전시는 앙증맞고 귀여운 오브제들로 가득 차 있지만, 그것이 달콤한 것만은 아니라는 씁쓸한 사실을 드러낸다. 전형적인 서구 금발미인을 모델로 한 바비 인형 위에 웨딩 드레스와 한복이 걸쳐있고(인형의 집), 고무 찰흙으로 된 구피나 미키마우스같은 디즈니 캐릭터들이 몇 상자 있으며(동물채집), 번쩍거리는 금장 접시에 장식 구슬 등으로 […]

2000 시간의 의미는 무엇인가 _ 이준희 (월간미술 기자)

시간의 의미는 무엇인가 이준희 (월간미술 기자) 작가 정소연의 세 번째 개인전인 이 전시는 크게 세 작품으로 이루어져 있다. 풍경과 정물로 나뉜 작품은 모니터와 영상을 사용한 설치로 구성되어 ‘같은 공간 속에 존재하는 다른시간’이란 주제를 그려내고 있다. 전시장에 들어가 첫 번째로 마주치게 되는 풍경작품은 과거와 현재가 동시에 존재하는 상황으로 연출돼 있다. 화면 오른쪽엔 갤러리 앞길 가로등에 설치된 […]

2000 What does “Time” mean? _ Lee, Joon-Hee (editor at The Art Magazine “Wolgan Misool”)

What does “Time” mean? Lee, Joon-Hee(editor at The Art Magazine “Wolgan Misool”) Jeong, SoYoun’s third solo exhibition is composed of three works. These works of landscape and still life are installations of monitors and images whose topic is ‘different time that exists in the same space’. Her work of landscape which is the first one […]

2000 The Past /The Present _ 김미진 (미술비평, 조형예술학 박사) 2000

The Past / The Present 김미진(미술비평, 조형예술학 박사) 비디오 풍경 1-비디오 정원 갤러리에 설치된 정소연의 비디오 작업은 같은 장소에서 다른 시간대의 풍경을 보여준다.정소연은 갤러리 앞 가정집 정원에 1대의 CCD 카메라를 설치하고 녹화하여 갤러리 안에 설치된 10대의 모니터를 통해 정원의 변화과정을 보여준다. 9대의 TV 모니터는 지나간 시간의 풍경을, 1대는 현재의 정원모습이다. 갤러리 공간은 집안 거실의 형태로 […]

2000 The Past / The Present _ Kim, MiJin (Art Critic)

The Past / The Present Kim, MiJin (Art Critic) Video landscape 1 – Video Garden Jeong, SoYoun’s video work installed in the Gallery presents different periods of time in the same place. She installed a CCD camera in the garden of a house which is in front of the gallery, recorded it, and shows its […]

1998 보편적 현실에 대한 분명한 비판의식의 발현 _ 이주헌 (미술비평)

보편적 현실에 대한 분명한 비판의식의 발현 이주헌 (미술비평) 정소연은 앞서 언급했듯이 두 작가에 비해 보다 더 구체적인 현실 문제를 건드린다. 하지만 ‘주체-타자’ 혹은 ‘중심-주변’의 이분법에 대한 비판의식을 깔고 있다는 점에서 고낙범과 일정한 연관성이 있으며, 언어 혹은 언어적 서술을 의식한다는 점에서 김남진의 세계와도 연이 전혀 없지는 않다. 정소연이 이번 전시에 출품한 작품은, 확대된 바비인형 사진에 작가 […]

1998 Critique on Universal Reality _ Lee, Ju Heon (Art Critic)

Critique on Universal Reality Lee, JuHeon (Art Critic) Jeong SoYoun is interested in telling specific reality. Critiquing the dichotomy of “I-The other”: “Center-Border”, she pays attention to the importance of language and its narration. The recent works of Jeong SoYoun are consisted in three parts: , the enlarged photos of Barbie doll wearing her own […]

1998 한 여성작가가 증언하는 20세기의 풍경 : 정소연의 근작 _ 윤난지 (이화여대교수, 미술사)

한 여성작가가 증언하는 20세기의 풍경 : 정소연의 근작 윤난지 (이화여대교수, 미술사) “그림이란… 본질적으로 일정한 질서 하에 구성된 색채들로 뒤덮인 평평한 표면이다.” 라는 모리스 드니의 선언 이래 현대미술은 ‘순수형식’이라는 고유의 성전을 지켜왔다. 미술의 아이덴티티를 지키는 일을 지상과제로 삼았던 모더니스트들은 ‘미술스럽지’ 않은 모든 것을 미술로부터 추방하고자 하였는데, 그들이 가장 우려한 불순물이 ‘언어’였다. 언어는 삶과 접하여 있기 때문에(클레멘트 […]

1998 A Woman’s Testimony on the Twentieth Century : The Recent Works of Jeong SoYoun _ Yun, NanJie (Art History)

A Woman’s Testimony on the Twentieth Century : The Recent Works of Jeong SoYoun Yun, NanJie (Art History) Consistent with the manifesto of Maurice Denis, which states that “Painting is essentially a plain surface covered with colors of arranged order,” modern art has sought to obey the cannon law of “pure form.” Modernist painting, whose […]